![]() |
![]() |
[특집] 정부, 현 정부 첫 민간투자(民間投資) 실현된 첫 번째 사업정부는 2026년 말 새만금 ‘챌린지 테마파크’ 문을 연다는 점에서 현 정부 첫 민간투자(民間投資) 실현에 민간 1443억 원 투자해 관광숙박(觀光宿泊), 문화·공연, 유원(遊園)·공공시설(公共施設) 등 조성을 전제로 ‘새만금위원회’ 개최하고 새만금산단 이차전지(二次電池) 사업장 환경오염(環境汚染) 관리방안 마련에 오는 2026년 말에 새만금 방조제(防潮堤)에 체류형 관광시설(觀光施設)인 ‘챌린지테마파크‘가 문을 연다. 축구장(蹴球場) 면적의 11배 넘는 규모로, 가족단위로 즐길 수 있는 휴양시설(休養施設)로 조성할 예정이다.
정부는 6일 한덕수 국무총리(國務總理) 주재로 ‘제31차 새만금위원회’를 개최해 이같은 내용의 새만금 명소화사업부지(名所化事業敷地)(1호방조제 시점부) 관광개발사업(觀光開發事業)(챌린지테마파크) 통합개발계획(統合開發計劃)(안)을 심의·의결했다. 민간이 총 1443억 원을 투자하는 이 사업은 관광숙박시설(觀光宿泊施設), 문화·공연시설, 지역특산물판매시설(地域特産物販賣施設), 유원시설 등 관광휴양시설(觀光休養施設)과 내부도로, 주차장(駐車場) 등 공공시설(公共施設)을 갖추게 된다. 아울러 지난 7월 새만금이 이차전지(二次電池) 특화단지(特化團地)로 지정되는 등 최근 이차전지(二次電池) 소재 제조 관련 기업들이 빠르게 입주함에 따라 환경기초시설(環境基礎施設) 확충 등 이차전지(二次電池) 사업장 환경오염(環境汚染) 대책도 마련한 점을 짚어본다.
<관광개발사업 통합개발계획(안) >
새만금 1호 방조제(防潮堤) 시점부에 조성하는 ‘챌린지테마파크’는 민간투자(民間投資)가 실현된 첫 번째 사업이다. 그동안 새만금 관광레저용지 개발은 부진했으나 ‘새만금 방조제(防潮堤) 명소화사업(名所化事業)’을 시작으로 국제적(國際的)인 관광명소(觀光名所) 개발 계획 발표 후 공모사업을 통해 추진하는 것이다. 2021년 7월 공모를 실시해 같은 해 12월에 ㈜챌린지테마파크를 사업시행자로 지정했고 도시건축공동위원회, 통합개발심의위원회 등을 거쳐 제31차 새만금위원회에서 통합개발계획(統合開發計劃)을 심의·의결했다.
특히 챌린지테마파크는 관광숙박시설(觀光宿泊施設)로 휴양콘도미니엄 150실과 단독형빌라 15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공연시설(公演施設)과 대관람차가 함께 입지해 가족 단위로 즐길 수 있는 휴양시설(休養施設)을 조성한다. 또한 지역사회(地域社會)와의 상생을 위해 지역생산품(地域生産品) 판매장 등을 설치하는 한편, 현재 운영 중인 마실길을 재정비해 상시·전면 개방한다. 해당 사업부지(事業敷地)는 새만금홍보관 및 국립새만금간척박물관과 인접해 시설 간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1호 방조제(防潮堤)를 중심으로 새만금의 새로운 문화관광산업지대(文化觀光産業地帶)가 형성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현 정부 들어 민간기업(民間企業)이 새만금 관광개발(觀光開發)에 투자한 첫 번째 사업인 만큼 추후 새만금 관광 활성화(活性化)와 민간투자(民間投資) 유치의 마중물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환경오염 관리방안>
현 정부 출범 이후 새만금 산단에 7조 8천억 원의 민간투자(民間投資)가 결정됐으며, 연말까지 이차전지(二次電池) 기업 등 10조 원 규모의 민간투자(民間投資) 유치가 이루어질 전망이다. 이에 환경부는 이차전지(二次電池) 사업장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환경오염을 예방하기 위해 새만금청, 전라북도(全羅北道) 등 관계기관(關係機關)과 함께 이차전지(二次電池) 사업장 환경오염(環境汚染) 관리를 위한 4가지 분야의 대책을 추진한다. 먼저 발생 가능한 오염물질(汚染物質)의 적정 처리를 위해 공공폐수처리장(公共廢水處理場)과 폐기물처리장(廢棄物處理場) 등의 환경기초시설(環境基礎施設) 증설을 추진하며, 기업 지원을 위해 폐수 공동관로(共同管路)를 설치하고 환경부를 중심으로 전문기술지원반을 운영한다.
화학사고(化學事故) 등을 예방하기 위해 화학물질안전원 아래 기술지원단을 신설해 안전성(安全性) 평가 및 화학물질(化學物質)의 위험성(危險性)을 사전에 분석한다. 사고발생(事故發生) 시에는 유관기관(有關機關) 합동의 익산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에서 신속하고 체계적(體系的)으로 사고에 대응해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안전하게 지킨다. 특히 새만금산단 인근 수질측정망(水質測程網)과 대기측정망(大氣測程網)을 통해 주변 오염도 현황을 지속적(持續的)으로 모니터링하고, 설치된 배출시설(排出施設)을 통합지도·점검해 환경오염(環境汚染)을 철저히 관리한다.
입주하는 이차전지(二次電池) 기업들의 애로사항 해소를 위해 유관기관(有關機關) 및 입주기업이 함께 참여하는 협의체를 운영하며, 배출업체(排出業體) 민관 네트워크를 통해 업체 간 노하우를 공유할 수 있는 장도 마련한다. 한편 민간위원들은 이차전지(二次電池) 사업장이 큰 규모로 입주하고 있어 이에 따라 인근 지역의 환경오염(環境汚染)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에 공감했다. 이에 이차전지(二次電池) 사업장에서 배출하는 폐수나 폐기물(廢棄物)과 같은 오염물질(汚染物質)을 철저히 관리할 수 있게 만전을 기하고 화학사소(化學事故) 발생 때 신속하게 대응해 안전한 산업환경(産業環境)을 조성할 수 있도록 요청했다.
한편 한덕수 국무총리는 “우리나라 최대의 국책사업(國策事業)으로 평가받는 새만금은 최근 기업투자(企業投資)의 급증으로 다시 한번 한단계 도약할 수 있는 중요한 전환점(轉換點)에 있다”며 “새만금 간척지(干拓地)가 제대로 활용되어 전북 지역뿐만 아니라 대한민국(大韓民國) 경제에 진정한 활력소(活力素)가 되도록 의지를 갖고 적극적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정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댓글
특집 관련기사목록
|
|